미국, 스페인 등 외국서 코로나 확산에 생필품 사재기 극성 <br />한국, 일부 생필품 수요 늘었지만 재고 충분…사재기 없어 <br />"사스·메르스 사태 때 등 경험 토대로 재고 충분히 비축" <br />"국내 온라인 배송 등 발달해 일시적 수요 증가 감당"<br /><br />미국 뉴저지의 한 마트입니다. <br /> <br />텅 빈 진열대에 휴지 품절 안내문만 붙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스페인, 영국 등에선 마트 문 열기 전부터 식료품 사려는 인파가 길게 줄지어 섰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타격이 한창인 외국은 요즘 사재기로 난리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 상황은 어떨까? <br /> <br />마트 진열대엔 물건이 꽉 들어차 있습니다. <br /> <br />라면이나 휴지 같은 일부 생필품 수요가 늘긴 했지만 재고는 넉넉합니다. <br /> <br />주요 생필품 매출이 20~30% 늘어났지만, 이 정도는 감당할 수준이라는 게 유통업계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편의점 상황도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라면 수요가 급증해 일부 제품 발주가 제한된 것 빼고는 수급이 원활합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 코로나 공포가 한창 컸던 지난달 말, 온라인몰 주문이 일시 폭증하긴 했지만, 재고가 바닥나는 생필품 사재기는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유통업계는 일단 과거 경험의 요인이 크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사스나 신종플루, 메르스 사태 때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코로나 때도 수요 증가에 대비해 재고를 충분히 비축해 뒀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가 온라인 배송 같은 물류시스템이 발달해 일시 수요 증가를 감당할 수 있다는 관점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거의 대부분의 대형마트가 전국 배송 시스템을 갖춘 데다 자체 온라인 몰도 있고 쿠팡, 마켓컬리 같은 이커머스 업체들도 다양합니다. <br /> <br />사재기는 불안 심리에서 비롯되는 데, 우리 소비자들은 언제든지 생필품을 살 수 있다는 모종의 신뢰 같은 게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외신들은 성숙한 시민의식 덕분이라면서 우리나라 시민들의 의연한 대처를 호평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차유정 <br />촬영기자 : 이승주 <br />영상편집 : 장세영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0032409011057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